Computer Science/Network

[네트워크] 영역별 네트워크 분류 & 인터넷 네트워킹 & 프로토콜

Smile :DK 2023. 7. 6. 01:04

영역별 네트워크 분류

LAN & MAN & WAN 

LAN(Local Area Network):

  • 근거리 통신망을 의미한다. 같은 건물이나 캠퍼스 같은 같은 좁은 범위에서 연결된 네트워크이다.
  • 이더넷, 와이파이와 같은 기술들
  • 10km 거리 제한

초등학교 컴퓨터실에서 몰래 스타크래프트 하면서 LAN으로 친구들과 만나서 같이 게임 했던 기억이 난다.

 

MAN(Metropolita Area Network)

  • 도시권 통신망을 의미한다. 큰 도시와 같이 넓은 지역의 네트워크이다.
  • DSL전화망, 케이블 TV네트워크를 통한 인터넷 서비스 제공 등
  • 50km 거리 제한

 

WAN(Wide Area Network)

  • 광역 통신망을 의미한다. 두 개 이상의 LAN들이 연결된 네트워크이다.
  • 지역, 국가, 세상 범위까지 구성된 지리적 거리/장소를 넘나드는 네트워크

 

기타

 

 

인터넷 네트워킹(InternetWorking)

네트워크를 확장하는 방법은 크게 두가지이다.

  1. 한 네트워크를 확장하는 방법
  2. 네트워크와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방법

2번 처럼 여러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것을 인터네트워킹이라 한다.

 

인터네트워킹의 장점

  • 인터네트워킹은 네트워크의 일부에서 고장이 나도 영향이 광범위하게 퍼지지 않는다.
  • 불필요한 통신이 네트워크 전체로 확산하지 않는다.
  • 개별 네트워크를 각각의 방침에 따라 관리가 가능하다.

전 세계적으로 인터네트워킹 하는 것을 인터넷(The Internet)이라 한다.

 

 

프로토콜(Protocol)

통신 프로토콜 혹은 통신 규약으로 원거리 통신 장비 사이에서 메세지를 주고 받는 양식과 규칙의 체계이다. 즉, 통신 규약 및 약속이다.

 

규칙과 약속이 필요한 이유

우리가 가전제품을 사용할 때 전원에 연결해서 사용하는 전원 코드를 생각해보았을 때, 가전제품 제조사 마다 전원 연결부를 다르게 만들어 출시한다면 제품을 살 때 마다 전기 기술자를 불러 콘센트를 바꿔 달아야 할 것이다. 그래서 전자제품에도 어느 정도 공통 규약이 정해져있으며 제조사는 이를 바탕으로 전자 제품을 제조한다. 인터넷도 마찬가지로 어느 컴퓨터든 일관되게 네트워크를 사용할 수 있게 하는 공통 언어가 프로토콜이다.

 

기본 요소

  • 구문(Syntax):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의 형식(Format), 부호화(Coding), 신호 레벨(Signal Level) 등을 규정
  • 의미(Semantics): 두 기기 간의 효율적이고 정확한 정보 전송을 위한 협조 사항과 오류 관리를 위한 제어 정보 규정
  • 시간(Timing): 두 기기 간의 통신 속도, 메세지의 순서 제어 등을 규정

 

OSI 계층 별 프로토콜 종류

계층(Layer) 프로토콜
응용 계층(Application Layer) HTTP, SMTP, FTP, Telnet
표현 계층(Presentation Layer) ASCII, MPEG, JPEG. MIDI
세션 계층(Session Layer) NetBIOS, SAP, SDP, NWLink
전송 계층(Transport Layer) TCP, UDP, SPX
네트워크 계층(Network Layer) IP, IPX
데이터 링크 계층(DataLink Layer) Ethernet, Token Ring, FDDI, Apple Talk
물리 계층(Physical Layer) 없음

 


Reference.

https://ko.wikipedia.org/wiki/%EA%B7%BC%EA%B1%B0%EB%A6%AC_%ED%86%B5%EC%8B%A0%EB%A7%9D

https://computer-science-student.tistory.com/3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