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CP는 연결형 서비스로 3-way handshaking과정을 통해 연결을 설정하기 때문에 신뢰성을 보장하지만, 속도가 비교적 느리다는 단점이 있고 4-way handshaking과정을 통해 연결을 해제합니다.
UDP는 비 연결형 서비스로 3-way handshaking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신뢰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지만, 데이터 수신 여부를 확인하지 않기 때문에 속도가 빠르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TCP는 주로 신뢰성이 중요한 파일 교환과 같은 경우에 사용되고
UDP는 실시간성이 중요한 스트리밍에서 자주 사용됩니다.
프로토콜의 종류 | TCP | UDP |
연결 방식 | 연결형 서비스 | 비연결형 서비스 |
패킷 교환 방식 | 가상 회선 방식 | 데이터그램 방식 |
전송 순서 | 전송 순서 보장 | 전송 순서가 변동될 수 있음 |
수신 여부 확인 | 확인함 | 확인하지 않음 |
통신 방식 | 1:1 통신 | 1:1 / 1:N / N:N 통신 |
신뢰성 | 높음 | 낮음 |
속도 | 느림 | 빠름 |
3 - way - handshake
TCP 네트워크에서 통신하는 장치가 서로 연결이 잘 되었는지 확인하는 방법입니다. 송신자와 수신자는 총 3번에 걸쳐 데이터를 주고 받으며 통신이 가능한 상태인지 확인합니다.
4 - way - handshake
TCP 네트워크에서 통신 하는 장치의 연결을 해제하는 방법입니다. 송신자와 수신자는 총 4번에 걸쳐 데이터를 주고 받으며 연결을 해제합니다.
SYN(Synchronize Sequence Numbers): 연결 확인을 보내는 무작위 숫자 값(요청)
ACK(Acknowledgements): Client 혹은 Server로 부터 받은 SYN에 1을 더해 SYN을 잘 받았음(승인)
Reference.
'Computer Science >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네트워크] 영역별 네트워크 분류 & 인터넷 네트워킹 & 프로토콜 (0) | 2023.07.06 |
---|---|
[네트워크] 네이티브 애플리케이션 VS 웹 애플리케이션 (0) | 2023.05.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