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puter Science/Network

Computer Science/Network

[네트워크] 영역별 네트워크 분류 & 인터넷 네트워킹 & 프로토콜

영역별 네트워크 분류 LAN & MAN & WAN LAN(Local Area Network): 근거리 통신망을 의미한다. 같은 건물이나 캠퍼스 같은 같은 좁은 범위에서 연결된 네트워크이다. 이더넷, 와이파이와 같은 기술들 10km 거리 제한 초등학교 컴퓨터실에서 몰래 스타크래프트 하면서 LAN으로 친구들과 만나서 같이 게임 했던 기억이 난다. MAN(Metropolita Area Network) 도시권 통신망을 의미한다. 큰 도시와 같이 넓은 지역의 네트워크이다. DSL전화망, 케이블 TV네트워크를 통한 인터넷 서비스 제공 등 50km 거리 제한 WAN(Wide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을 의미한다. 두 개 이상의 LAN들이 연결된 네트워크이다. 지역, 국가, 세상 범위까지 구성된 지리적 거리..

Computer Science/Network

[네트워크] 네이티브 애플리케이션 VS 웹 애플리케이션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시스템 소프트웨어(응용소프트웨어를 실행하기 위한 플랫폼 역할을 하는 소프트웨어)를 제외한 모든 소프트웨어 네이티브 애플리케이션(Native Application) 특정기기(스마트 폰, 태블릿 등등)에 설치하여 사용하는 애플리케이션으로 특정 실행환경에 종속된다.(아이폰 앱을 안드로이드 폰에서 사용할 수 없듯이) 장점 1. 웹 애플리케이션보다 빠르다. 2.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기기의 시스템/기기의 리소스에 접근이 용이하다.(GPS기능이나 카메라 등) 3. 인터넷이 없어도 사용 가능하다. 4. 웹 애플리케이션에 비해 안전하다.(모바일의 경우 앱스토어에 승인을 받아야 함) 단점 1. 웹 애플리케이션에 비해 개발 비용이 비싸다. (아이폰과 안드로이드 간의 멀티 플랫폼 개발 등..

Computer Science/Network

[Network] TCP와 UDP의 차이

TCP는 연결형 서비스로 3-way handshaking과정을 통해 연결을 설정하기 때문에 신뢰성을 보장하지만, 속도가 비교적 느리다는 단점이 있고 4-way handshaking과정을 통해 연결을 해제합니다. UDP는 비 연결형 서비스로 3-way handshaking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신뢰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지만, 데이터 수신 여부를 확인하지 않기 때문에 속도가 빠르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TCP는 주로 신뢰성이 중요한 파일 교환과 같은 경우에 사용되고 UDP는 실시간성이 중요한 스트리밍에서 자주 사용됩니다. 프로토콜의 종류 TCP UDP 연결 방식 연결형 서비스 비연결형 서비스 패킷 교환 방식 가상 회선 방식 데이터그램 방식 전송 순서 전송 순서 보장 전송 순서가 변동될 수 있음 수신 여부 ..

Smile :DK
'Computer Science/Network' 카테고리의 글 목록